공인중개사 공부/부동산학개론

2. 부동산경제론- 1. 부동산 수요·공급 이론 2) 균형가격과 균형거래량 3) 수요와 공급의 탄력성

polissage 2023. 3. 12. 19:54
728x90

1차 부동산학개론

부동산학 총론

▶ 부동산경제론

1. 부동산 수요·공급이론

 1) 부동산 수요·공급의 개념과 특징

 2) 균형가격과 균형거래량

 3) 수요와 공급의 탄력성

2. 부동산 경기변동

부동산시장론(완료)

부동산정책론(완료)

부동산투자론(완료)

부동산금융론(완료)

부동산개발 및 관리론(완료)

부동산감정평가론(완료)


2023.3월 둘째주 공부 내용
- 부동산경제론 이론: 균형가격과 균형거래량, 수요와 공급의 탄력성
- 문제풀이(12/22): 종류별 탄력성 개념 및 계산 공식이 아직 머릿속에 들어오지 않은듯

1. 부동산 수요·공급 이론

2) 균형가격과 균형거래량

01 균형의 달성

  1. 균형가격과 균형거래량: 완전경쟁시장에서 우하향하는 시장수요곡선과 우상향하는 시장공급곡선이 교차하는 점에서 형성되는 가격 및 거래량
    • 완전경쟁시장모형 가정

02 시장균형과 균형가격의 결정

  1. 균형의 개념: 수요량과 공급량이 같은 상태
    • 균형점: 수요곡선과 공급곡선이 만나는 점
    • 균형거래량, 균형수급량: 수요량과 공급량이 같은 상태의 양
    • 균형가격: 수요량과 공급량이 같은 상태에서 결정된 가격
  2. 초과공급 발생시 균형가격으로의 회귀과정
    • 임대료 하락 → 균형점까지 하락하여 균형가격(임대료) 결정
  3. 초과 수요 발생시 균형가격으로의 회귀과정
    • 임대료 상승 → 균형점까지 상승하여 균형가격(임대료) 결정

03 수요·공급의 변화에 따른 균형가격과 균형거래량의 변화

  1. 수요의 변화량이 공급의 변화량보다 큰 경우
    • 수요의 증가량의 더 큰 경우: 균형가격 상승 및 균형거래량 증가
    • 수요의 감소량이 더 큰 경우: 균형가격 하락 및 균형거래량 감소
  2. 공급의 변화량이 수요의 변화량보다 작은 경우
    • 공급의 증가량의 더 큰 경우: 균형가격 하락 및 균형거래량 증가
    • 공급의 감소량이 더 큰 경우: 균형가격 상승 및 균형거래량 감소

3) 수요와 공급의 탄력성

01 탄력성의 개념

  1. 개념: 가격이 변할 때 그 양이 얼마나 변하는지를 판단하는 정량적 지표
  2. 종류
    • 수요의 가격탄력성
    • 공급의 가격탄력성
    • 수요의 소득탄력성
    • 수요의 교차탄력성

02 수요의 가격탄력성

  1. 의의: 어떤 재화의 가격이 변할 때 그 재화의 수요량이 얼마만큼 변하는가를 측정하는 척도
    • 가격의 변화율에 대한 수요량의 변화율로 측정된다.
      1. 계산: 수요량의 변화율(%)/가격 변화율(%)
        • 수요량의 변화율 = 수요량의 변화분/최초의 수요량
        • 가격의 변화율 = 가격의 변화분/최초의 가격
  2. 수요의 가격탄력성 구분
    • 0과 무한대 사이의 값
    • 구분구분 수요량의 변화 정도 수요곡선의 기울기 
      구분 수요량 변화 정도 수요곡선 기울기
      단위탄력적 가격 변화율 = 수요량 변화율 45도
      탄력적 가격 변화율 < 수요량 변화율 완만
      비탄력적 가격 변화율 > 수요량 변화율 급경사
      완전비탄력적 가격이 변할 때 수요량은 변하지 않는다. 수직선
      완전탄력적 가격이 변할 때 수요량은 무한대로 변한다. 수평선
  3. 수요의 가격탄력성 결정요인
    • 대체재가 많은 경우 수요의 가격 탄력성이 더 커짐
      1. 용도적 대체재도 포함
    • 용도가 다양할수록, 용도전환이 용이할수록 수요의 가격탄력성은 더 탄력적이 된다
    • 고가성, 내구성, 개별성 때문에 부동산의 수요는 가격에 대해 단기에는 비탄력적이나 장기에는 탄력적이 됨
  4. 수요의 가격탄력성과 기업의 총수입액(소비자의 총지출액)의 관계
    1. 임대부동산의 임대료총수입 = 가격(임대료, P) * 판매량(Q)
      • 수요의 가격탄력성이 1인 경우
        1. 임대료의 변화율과 수요량의 변화율이 동일하므로 가격을 인상하거나 인하하여도 공급자의 총수입에 변화가 없음
      • 1보다 큰 경우(탄력적)
        1. 임대료 인상시 임대료 인상률보다 수요량이 더 많이 감소
        2. 임대료 인하시 임대료 인하율보다 수요량이 더 많이 늘어남
          1. 탄력적인 경우 가격인하(저가) 정책이 공급자의 총수입을 증가시킴
      • 1보다 작은 경우(비탄력적)
        1. 임대료 인상시 임대료 인상률보다 수요량이 덜 감소하므로 공급자의 총수입 증가
        2. 임대료 인하시 임대료 인하율보다 수요량이 덜 증가하므로 공급자 총수입 감소
          1. 비탄력적인 경우 가격인상(고가)정책이 공급자의 총수입 증가시킴

03 공급의 가격탄력성

  1. 의의: 어떤 재화의 가격이 변할 때 그 재화의 공급량이 얼마만큼 변하는가를 측정하는 척도
    • 가격의 변화율에 대한 공급량의 변화율로 측정된다.
      1. 계산: 공급량의 변화율(%)/가격 변화율(%)
        • 공급량의 변화율 = 공급량의 변화분/최초의 공급량
        • 가격의 변화율 = 가격의 변화분/최초의 가격
  2. 수요곡선이 변하지 않을 때, 세금부과에 의한 경제적 순손실은 공급이 비탄력적일수록 커짐
    • 공급이 비탄력적일수록 공급을 감소시키기 어렵고 가격인상을 통해 세금을 전가시키기 어려움. 세금이 가격 인상을 통해 수요자에게 전가되기 어렵기 때문에 수요자는 더 높은 가격을 지불할 필요가 없고, 소비량도 줄어들지 않음

04 수요의 소득탄력성

  1. 의의: 수요자의 소득이 변할 때 그 재화의 수요량이 얼마만큼 변하는가를 측정하는 척도
    • 가격의 변화율에 대한 공급량의 변화율로 측정된다.
      1. 계산: 수요량의 변화율(%)/소득 변화율(%)
        • 수요량의 변화율 = 수요량의 변화분/최초의 수요량
        • 소득의 변화율 = 소득의 변화분/최초의 소득
  2. 정상재, 열등재
    • 정상재: 소득의 증가로 수요량이 늘어나는 재화
    • 열등재: 소득의 증가로 수요량이 감소하는 재화

05 거미집이론

 💡 수요·공급곡선 기울기로 탄력성을 비교하고, 변동의 유형인 수렴형·발산형만 구별할 수 있으면 됨
  1. 개념: 수요에 비해 공급의 변화가 느린 시장을 설명하기 위한 이론으로, 가격 변동에 대한 공급의 시차를 고려하여 그 일시적 균형의 변화과정을 동태적으로 분석한 것
  2. 가정
    • 가격 변동시 수요는 즉각적으로 영향을 받지만, 공급은 생산기간으로 인한 시차 존재
    • 공급자는 전기의 시장에서 성립된 가격을 기준으로 당기의 생산량을 결정하고, 당기에 생산된 수량은 빠른 시일내에 처분되어야 한다.
    • 현재의 수요결정은 현재가격에 의해 결정되고, 미래의 수요결정은 미래의 가격에 의해 결정된다. 그러나 현재의 공급결정은 과거가격에 의해 결정되고, 미래의 공급결정은 현재의 가격에 의존한다.
  3. 수렴적변동
    • 공급의 탄력성이 수요의 탄력성보다 적을 경우(Q1의 가격이 P1이고 2기의 공급량이 Q2일때) 초과수요가 생기고(P1-Q2) 이 초과수요로 인해 가격이 오르면서(P2) 다음 기수의 공급량이 증가한다(Q3). 그러나 공급탄력성이 수요의 탄력성보다 작으므로 공급량의 증가가 수요량의 감소보다 작은 변화를 일으킨다. 따라서 공급 Q3는 Q1보다 작아진다. 이처럼 가격과 수요공급은 P2 → Q3 → P3 → Q4로 대응하며 점차 균형점 R로 수렴한다
    • 수요곡선의 기울기의 절대값 < 공급곡선의 기울기일 때, 공급의 가격탄력성이 수요의 탄력성보다 작음

수렴적변동

4. 발산적변동

  • 공급의 탄력성이 수요의 탄력성보다 클 경우(Q1의 가격이 P1이고 2기의 공급량이 Q2일때) 초과수요가 생기고(P1-Q2) 이 초과수요로 인해 가격이 오르면서(P2) 다음 기수의 공급량이 증가한다(Q3). 그러나 공급탄력성이 수요의 탄력성보다 작으므로 공급량의 증가가 수요량의 감소보다 작은 변화를 일으킨다. 따라서 공급 Q3는 Q1보다 작아진다. 이처럼 가격과 수요공급은 P2 → Q3 → P3 → Q4로 대응하며 점차 균형점 R로 수렴한다
  • 수요곡선의 기울기의 절대값 > 공급곡선의 기울기일 때, 공급의 가격탄력성이 수요의 탄력성보다 큼

발산적변동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