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부동산학 총론 1) 부동산의 개념과 분류 (1)
1차 부동산학개론
▶ 1. 부동산학 총론
1) 부동산의 개념과 분류
2) 부동산의 특성 및 속성
2. 부동산경제론
3. 부동산시장론(완료)
4. 부동산정책론(완료)
5. 부동산투자론(완료)
6. 부동산금융론(완료)
7. 부동산개발 및 관리론(완료)
8. 부동산감정평가론(완료)
1. 부동산의 개념과 분류
1) 부동산의 개념
01 복합개념의 부동산 - 부동산의 복합개념
1. 부동산의 복합개념(종합개념): 부동산을 기술적·경제적·법률적 측면의 세 가지 측면으로 종합적으로 이해하려는 사고원리
1) 복합개념의 부동산
➀ 유형적 측면
- 기술적 측면(물리적 측면) - 지세, 지반, 구조, 설계 → 기술적 개념
➁ 무형적 측면
- 경제적 측면 - 가격, 수익 → 경제적 개념
- 법률적 측면 - 권리관계, 법적 규제 → 법률적 개념
2. 복합부동산: 토지와 건물이 결합되어 일체로 이용되고 있는 부동산(단독주택, 아파트)
- 법적으로는 토지와 건물을 독립된 물건으로 보나, 실제 부동산 활동(거래·평가 등)시에는 토지와 건물 등이 하나의 결합된상태로 취급하는 부동산
- 복합개념의 부동산과는 다른 개념
02 법률적 개념(제도적 측면)의 부동산
1. 협의의 부동산: 민법에서 정의한 개념
- 민법에서는 부동산을 토지 및 그 정착물이라고 규정하고 있음
- 동산과 부동산의 구분: 부동산 이외의 물건은 동산
1) 토지: 지표의 일부를 일정범위로 구획·구분하여 그 구분된 개별토지를 1필의 토지라 함
- 1필지마다 지번을 붙여 토지등기부에 기재
2) 정착물: 토지에 계속적, 항구적으로 부탁된 상태로 사용되는 것이 사회통념상 인정되는 물건
- 토지와 별개인 독립된 정착물: 등기된 건물, 등기된 입목
- 토지의 일부인 정착물: 교량, 돌담, 도로의 포장
- 이동이 가능한 물건은 부동산정착물로 판단하지 않음: eg. 헐어버린 건축물, 판잣집, 가식 중의 수목
3) 건축물의 설비를 부동산정착물로 판단하는 기준
➀ 물건이 부동산에 부착된 방법에 따른 구분
- 설비 제거시 건물에 손상이 발생하거나 효용이 감소하면 해당 설비는 부동산 정착물로 취급
- eg. 수도배관, 전기배선
➁ 거래당사자간의 관계에 따른 구분
- 임대인이 설치한 것은 부동산정착물로 취급, 임차인이 설치한 것(거래·농업·가사정착물)은 부동산정착물로 취급하지 않음
- 부동산 매매시 그 설비가 정착물인지 아닌지가 불분명한 경우 정착물로 간주되어 매수인에게 넘어감
➂ 물건의 성격 및 용도에 따른 구분
- 특정 용도에 맞게 설치된 물건이나 주문제작된 것은 부동산 정착물(방법창, 유리문, 교회용 책상, etc.)
➃ 물건을 설치한 의도에 따른 구분
- 임대인이 임대건물의 가치증진을 위하여 설치한 붙박이 에어컨 등은 부동산정착물
- 임차인이 당사자의 편의를 위해 설치한 것은 부동산정착물이 아님
2. 광의의 부동산: 협의의 부동산에 준부동산을 포함하는 개념
1) 민법상 부동산은 아니지만 부동산처럼 등기·등록의 방법으로 공시하여 부동산에 준하여 취급하는 것으로 부동산학의 연구대상이 되며 부동산 활동의 대상이 됨
- 물권변동을 등기나 등록의 수단으로 하는 동산: 자동차, 항공기, 건설기계, 선박(20t 이상), 입목
- 동산과 부동산의 결합물: 공장재단, 광업재단
03 경제적 개념의 부동산
경제적 개념의 부동산은 생산⋅교환⋅분배⋅소비⋅투자의 측면에서 보는 부동산으로서 이 경우 부동산은 자산, 자본, 생산요소, 소비재, 상품으로서의 부동산이 된다.
1. 자산: 다른 재화에 비해 경제적 가치가 큰 자산(재산)
- 투자대상, 재테크 수단, 임대료수입이나 매각차익을 획득하기 위한 투자수단으로써의 자산
2. 자본
- 아파트 등 최종재화를 생산하기 위하여 중간재로서 투입되는 자본의 개념
3.생산요소(생산재): 재화를 생산하기 위하여 필요한 토지·자본·노동·경영 등
1) 능동적 생산요소 vs 수동적 생산요소: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구분
- 토지는 수동적 생산요소
2) 생산요소에 대한 대가: 생산요소를 타인에게 빌렸을때 지불해야 하는 대가
➀ 지대: 토지 사용대가
➁ 이자: 자본 사용대가
➂ 임금: 노동 사용대가
➃ 이윤: 경영 사용대가
4. 소비재
- 인간의 욕구(효용, 편익) 충족을 위해 가격을 지불하고 소비하는 재화
- eg. 임대주택 거주, 유료주차장 이용, 쾌적하고 안정적인 주거생활을 위해 주택을 구입하는 경우
5. 상품
- 공급자가 공급하거나 판매함을 통하여 교환의 대상이 되는 유·무형의 재화
04 기술적 개념(물리적 측면)의 부동산
공간, 자연, 위치, 환경 등
1. 자연 : 토지를 자연환경(natural environment)으로 정의하는 토지의 가장 넒은 의미의 정의
2. 위치
- 절대적 위치: 부동산의 자연적(물리적) 위치, 변할 수 없음
- 상대적 위치: 부동산의 사회적⋅경제적⋅행정적 위치를 말하며 변경 가능
3. 공간 : 수평공간, 공중공간, 지하공간의 3차원 공간으로 구성됨 특히 공중공간과 지중공간을 합하여 입체공간이라 함.
4. 환경 : 토지를 자연으로 파악할 경우 토지는 자연으로서 자연환경이 됨
2023.10.29 - [공인중개사 공부/공인중개사 기출문제] - 34회 공인중개사 기출문제-1차 부동산학개론
34회 공인중개사 기출문제-1차 부동산학개론
1차 부동산학개론 1. 부동산학 총론 기출문제 부동산의 개념과 분류 2. 부동산의 개념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➀ 민법상 부동산은 토지 및 그 정착물이다. ➁ 경제적 측면의 부동산은 부동산
polissage.tistory.com
2023.3월 셋째주 공부 내용
- 부동산학 총론 이론: 1. 부동산의 개념과 분류
- 문제풀이(7/9)
2023.10.29
1절 개념 재학습, 23년도 문제풀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