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인중개사 공부/34회 공인중개사 기출문제

34회 공인중개사 기출-1차 부동산학개론 11~15번

polissage 2023. 11. 14. 23:44
728x90

 

 

11. X와 Y지역의 산업별 고용자수가 다음과 같을 때, X지역의 입지계수(LQ)에 따른 기반산업의 개수는?(단, 주어진 조건에 한함)

구분 X지역 Y지역 전지역
A산업 30 50 80
B산업 50 40 90
C산업 60 50 110
D산업 100 20 120
E산업 80 60 140
전산업 고용자수 320 220 540

 

➀ 0개          ➁ 1개          ➂ 2개          ➃ 3개          ➄ 4개


정답: ➁ 특정 지역의 입지계수는 해당 지역의 특정 산업 구성비/전국의 특정 산업 구성비로 구한다.

산업 구성비 = 특정 산업 고용자 수/전 산업 고용자 수

LQ > 1이면 해당 지역의 기반산업이다.

구분 X지역의 산업 구성비 LQ 전지역의 산업 구성비
A산업 30/320 = 0.093.. LQ < 1 80/540 = 0.148..
B산업 50/320 = 0.156... LQ < 1 90/540 = 0.166..
C산업 60/320 = 0.187.. LQ < 1 110/540 = 0.203..
D산업 100/320 = 0.312.. LQ > 1 120/540 = 0.222..
E산업 80/320 = 0.25 LQ < 1 140/540 = 0.259..

 

LQ > 1인 산업은 D 1개!

 

시험 직전에 외운 내용에서 출제됨!!

 

 

12. 허프(D. Huff)모형을 활용하여 점포 A의 월 매출액을 추정하였는데, 착오에 의해 공간(거리)마찰계수가 잘못 적용된 것을 확인하였다. 올바르게 추정한 점포 A의 월 매출액은 잘못 추정한 점포 A의 월 매출액보다 얼마나 증가하는가?(단, 주어진 조건에 한함)

- X지역의 현재 주민: 10,000명
- 1인당 월 점포 소비액: 30만원
- 올바른 공간(거리)마찰계수: 2
- 잘못 적용된 공간(거리)마찰계수: 1
- X지역의 주민은 모두 구매자이고, 점포(A, B, C)에서만 구매한다고 가정함
- 각 점포의 매출액은 X지역 주민에 의해서만 창출됨
구분 점포 A 점포 B 점포 C
면적 750 2,500 500 
X지역 거주지로부터의 거리 5km 10km 5km

 

➀ 1억원             ➁  2억원              ➂  3억원               ➃  4억원               ➄  5억원     


정답: ➂ 허프모형을 이용한 특정 점포의 매출액을 구하기 위하여 특정 점포로 구매하러 갈 확률(시장점유율)을 먼저 구해야 한다.

A, B 2개가 있을때, 마찰계수가 2일때(분모, 분자의 분모를 마찰계수인 2만큼 거듭제곱한다.

  • 마찰계수를 1로 잘못 적용한 경우
    • 분자: 점포 A의 면적 / X지역으로부터의 거리 = 750/5 = 150
    • 분모: 점포 A의 면적 / X지역으로부터의 거리 + 점포 B의 면적 / X지역으로부터의 거리 + 점포 C의 면적 / X지역으로부터의 거리
      • 750/5 + 2500/10 + 500/5 = 150 + 250 + 100 = 500
    • 결과: 0.3
  • 마찰계수를 2로 적용한 경우
    • 분자: 점포 A의 면적 / X지역으로부터의 거리 = 750/5^2 = 30
    • 분모: 점포 A의 면적 / X지역으로부터의 거리 + 점포 B의 면적 / X지역으로부터의 거리 + 점포 C의 면적 / X지역으로부터의 거리
      • 750/5^2 + 2500/10^2 + 500/5^2 = 30 + 25 + 20 = 75
    • 결과: 0.4
  • 점포 A의 월 매출액
    • X의 주민 수 * 인당 소비액 * A에서 구매할 확률
      • 확률이 30%일 때: 10,000 * 300,000 * 0.3 = 900,000,000
      • 확률이 40%일 때(마찰계수 바르게 적용): 10,000 * 300,000 * 0.4 = 1,200,000,000
  • 9억 -> 12억으로 늘어났으므로 증가한 매출액은 3억원!

시험 끝나고 공부해서 알았다 ㅠ

 

 

13. 베버(A. Weber)의 최소비용이론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단, 기업은 단일 입지 공장이고, 다른 조건은 동일함)

➀ 최소비용지점은 최소운송비 지점, 최소노동비 지점, 집적이익이 발생하는 구역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서 결정한다.          

 등비용선(isodapane)은 최소운송비 지점으로부터 기업이 입지를 바꿀 경우, 운송비와 노동비가 동일한 지점을 연결한 곡선을 의미한다.             

  원료지수(material index)가 1보다 큰 공장은 원료지향적 입지를 선호한다.               

  제품 중량이 국지원료 중량보다 큰 제품을 시장지향적 입지를 선호한다.

  운송비는 원료와 제품의 무게, 원료와 제품이 수송되는 거리에 의해 결정된다.


정답: ➁ 등비용선(isodapane)은 최소운송비 지점으로부터 기업이 입지를 바꿀 경우, 추가적인 수송비의 부담이 동일한 지점을 연결한 곡선이다.

 

➂ 원료지수 > 1인 경우, 원료중량 > 제품중량인 원료지향형 산업이다.

➃ 원료중량 < 제품중량(원료지수<1)인 경우 시장지향형 산업니다.

 

4번은 맞는 지문 같았는데 틀린게 없어보여서 찍고 틀림

 

 

14. 크리스탈러(W. Christaller)의 중심지이론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➀ 최소요구범위 - 중심지 기능이 유지되기 위한 최소한의 수요 요구 규모

 최소요구치 - 중심지로부터 어느 기능에 대한 수요가 0이 되는 곳까지의 거리

 배후지 - 중심지에 의해 재화와 서비스를 제공받는 주변지역    

 도달범위 - 판매자가 정상이윤을 얻을 만큼의 충분한 소비자들을 포함하는 경계까지의 거리

 중심지 재화 및 서비스 - 배후지ㅇ에서 중심지로 제공되는 재화 및 서비스


정답: ➂ 크리스탈러의 중심지이론은 상대적 크기에 따라 중심지의 계층을 구분하고 계층별 중심지간의 거리와 기능이 달라짐을 설명한 이론이다. 중심지는 그 주변지역(배후지)에 상품과 서비스를 생산·공급하는 중심 기능을 갖는 장소를 말한다.

  • 고차중심지: 백화점, 시청, 대학교
  • 중차중심지: 재래시장, 구청, 중고등학교
  • 저차중심지: 구멍가게, 동사무소, 초등학교

고차계층일수록 저차계층보다 중심지간의 거리가 더 멀고 다양한 중심지 기능을 가진다.

 

➀ 최소요구범위 -> 최소요구치가 맞는 개념

➁ 최소요구치는 중심지 기능이 유지되기 위한 최소한의 수요 요구 규모(고객 수)를 말한다. 

➃ 도달범위 -> 재화의 도달거리: 특정 재화나 서비스를 얻기 위하여 고객들이 통행하는 최대의 거리를 말하며, 판매량이 '0'이 되는 범위를 말한다.

➄ 중심지 재화 및 서비스는 중심지에서 배후지로 제공된다.

 

3번에 당당하게 엑스표가 쳐져있군. 다시 내용 확인해보니 지문을 굉장히 치사하게 변형하고 엮어놓았다.

 

 

 

15. 우리나라 부동산 관련 조세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ㄱ. 지방세   ㄴ. 국세
ㄷ. 취득단계   ㄹ. 처분단계   ㅁ.보유단계
ㅂ. 물건별 과세표준에 대한 과세
ㅅ. 납세의무자별로 합산한 과세표준에 대한 과세

➀ 취득세와 재산세는 (ㄱ. ㅁ, ㅅ)에 해당한다.

 취득세는 (ㄱ, ㄷ)에, 종합부동산세는 (ㄴ, ㅁ)에 해당하고, 공통점은 (ㅂ)에 해당한다.

재산세는 (ㄱ, ㅂ)에, 종합부동산세는 (ㄴ, ㅅ)에 해당하고, 공통점은 (ㅁ)에 해당한다.

 양도소득세는 (ㄴ)에, 재산세는 (ㄱ)에 해당하고, 공통점은 (ㅁ, ㅅ)에 해당한다.

 양도소득세와 종합부동산세는 (ㄴ, ㅁ, ㅂ)에 해당한다.


정답: ➂ 조세의 분류에 대한 문제.

  • 유형별·단계별 조세: 단계별은 상대적으로 외우기 쉽다
구분 취득단계 보유단계 처분단계
국세 인지세, 상속세, 증여세 종합부동산세 양도소득세
지방세 취득세, 등록면허세 재산세 지방소득세

 

  • 취득세, 재산세가 지방세인것을 기억해야 할 듯
  • 지방소득세가 처분단계에서 부과된다.

➁ 종합부동산세는 납세의무자별로 합산한 과세표준에 대해 과세된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