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

볼린저 밴드

polissage 2023. 2. 4. 19:22
728x90

볼린저 밴드도 기본적으로 이동평균선 개념에 기초한다.

주가의 변동이 표준정규분포 함수에 따른다고 가정하고 가격의 기준이 되는 중심선과(주로 20일 이동평균선) 표준편차를 이용하여 상한선과 하한선을 표시한 변동성 지표이다. Envelope 지표를 보완하기 위해 만들어졌다고 한다.

Envelope 지표란?

겉보기에는 볼린저 밴드와 형태가 동일하다. 중심선은 주로 20일 이동평균선이고, 상하한선은 중심선에서 일정 비율(보통 6%)만큼 선을 움직여 그린다. 상하한선 각각 얼마나 움직일지를 설정할 수 있다.

 

파란색이 Envelope, 노란색이 볼린저 밴드

엔벨로프 상하단 사이 간격을 기준으로, 상하단에 근접하거나 돌파하려고 할 때를 매매 시점으로 결정한다. 20일 이평선을 기준으로 상하한선 구간 안에 주가가 밴드 형태보다 약간 선행하여 그려지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는데, 상한선(저항선)을 터치하면 매도하고 하한선(지지선)을 터치하면 매수하는 식이다. 이평선을 기준으로 하여 주가의 흐름이 반전하는 시점에 매수하는 전략은 앞서 이동평균선 포스팅에서 언급된 전략과 동일하다고 할 수 있다.

 

엔벨로프 지표 기준 매매 시점

그런데 저항선/지지선 터치 시점을 표시해보니 특히 지지선 터치 이후에도 주가가 쫙쫙 내려가는 경우도 보인다(마지막 노란색 동그라미 이후). 20일간의 주가 평균을 기준으로 ‘기존 추세를 벗어나는 흐름이 생길 경우 이 흐름이 반전될 것’이라는 가정에 기반한 전략이므로 급격하게 반전된 추세의 흐름이 계속 이어지는 경우 등 안맞는 경우가 꽤 있을 것 같다.


볼린저 밴드

이렇게 가격이 급변하는 시점에서 Envelope 지표가 적절한 매매 시점을 알려주지 못한다는 단점을 보완하고자 볼린저밴드가 만들어졌다고 한다. 볼린져밴드는 이평선을 중심으로 표준편차에 특정 값(주로 2)을 곱한 값을 더하거나 빼서 상하한선을 그린다. 통계학적으로 정규분포를 이루는 특정 집단에서 평균 2 표준편차 이내에서 사건이 발생할 확률은 95% 이상이다. 이 기준에 따르면 전체 기간 중 95%의 주가가 볼린저 밴드 내에 위치하게 되는데, 이 경우 볼린저 밴드와 주가의 접점이 생겼을 경우 새로운 추세가 형성될 가능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Envelope 지표에서와 동일하게 캔들이 상한선에 닿으면 매도하고 하한선에 닿으면 매수한다. 주가가 급격하게 하락하는 시점에 Envelope 지표보다는 접점이 덜 생기기는 하는 것 같아서, 노이즈가 적어 보인다.

 

표준편차에 곱하는 값을 1로 사용한다면 밴드의 폭이 좁아져 68%의 기간 동안 주가가 밴드 내에서 움직인다. 이 배수로 큰 값을 사용할 수록 밴드 밖에 캔들이 그려지는 경우는 훨씬 더 예외적이며 강력한 추세의 징후가 될 수 있으며, 거래 빈도는 줄어들게 된다.

위 이미지에서 중간에 주가가 서서히 하락하면서 밴드의 폭이 좁아지는 구간이 있는데, 이렇게 등락이 완만한 구간에서는 매매신호를 포착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이 경우에는 조만간 가격이 크게 움직일 가능성이 커지므로 그 시점에 적절한 대응이 필요하다. 상한선 돌파시 매수하거나 하한선을 뚫으면 매도하는 식이다.

 

볼린저 밴드 매매 전략

추세 매매 절대지식 참고

  • 밴드 중심선: 80일 이동평균
  • 표준편차의 1배수 사용
  • 타임프레임: 일봉
  • 매수 규칙
    • 전일 종가가 상한선 돌파하면 다음 날 개장시 시장가 매수
    • 전일 종가가 중심선 아래로 내려갈 경우 다음 날 개장시 시장가 매도
  • 매도 규칙
    • 전일 종가가 하한선 돌파하면 다음 날 개장시 시장가 매도
    • 전일 종가가 중심선 위로 끝나면 다음날 개장시 시장가 매수

책에 나와있는 여러 전략 중 성과가 아주 좋은 편이라고 한다. 손익이 나와있는데 원금 및 수익률이 얼만지는 바로 나와있지 않다.

 

이동평균선을 활용한 투자와 동일하게 과거의 주가 추세를 기반으로 매매 시점을 정하기 때문에 이에 깔려있는 가정이 작동하지 않을 경우(매매 시점에 추세가 반전되지 않고 계속 이어짐) 이 전략 기반으로 의사 결정을 내리는 것은 불가능해질 것이다. 그래서 어떤 시점부터 규칙을 벗어난 결정을 할지 판단하는 것이 중요할 것 같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