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분류 전체보기92

Your guess is as good as mine - 잘 모르겠어 내가 좋아하는 버튼으로 말하는 Ducat이라는 고양이 영상을 보다가 고양이가 버튼을 눌러 한 의사표현의 의미를 짐작할 수 없어서 주인이 시청자에게 한 말이 귀에 들어왔다. 고양이가 LOOK! 버튼을 눌렀는데 무엇을 보라는 것인지 알 수 없어서 한 표현이다. 고양이가 너무 이쁘게 생겼다. Facebook에 로그인 Notice 계속하려면 로그인해주세요. www.facebook.com Oxford something you say when you do not know the answer to a question: Longman used to tell someone that you do not know any more than they do about something 상대방이 아는 것 정도로만 무언가를 알고 있.. 2024. 1. 14.
플러터 기본 학습 - 상태 관리 (1) state, Stateful widget 플러터에서는 상태가 변경되면 UI를 명령어로 직접 변경하지 않는다(예: widget.setText). 상태를 변경하면 이에 맞게 UI를 리빌드한다.(declarative) State 상태는 UI를 변경하도록 영향을 미치는 데이터를 가리키며, 일시적인 상태(Ephemeral)와 app 수준의 상태 2가지가 있다. 일시적 상태는 위젯 1개에서 StatefulWidget 내 setState 메소드로 간단하게 표현할 수 있다. 일시적 상태 PageView의 현재 페이지 복잡한 애니메이션의 현재 진행 상태 BottomNavigationBar에서 현재 선택된 탭 app state 앱 상태는 여러 곳에서 공유되거나 여러 세션에서 유지하려고 하는 상태를 가리킨다. 사용자 환경 설정 로그인 정보 소셜 네트워킹 앱의 알림.. 2024. 1. 12.
플러터 학습기 (5) - 핫 리로드, Element tree, Render tree 책에서 provider 쪽을 공부하다가 잘 모르는 기초 개념들이 발목을 잡는 기분이 들어 몇가지 기초를 공부하고 돌아왔다. 몇가지 예제를 실습하면서 터미널에서 flutter run을 하는 것보다 hot reload를 하는 것이 굉장히 편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Hot reload 사용법 hot reload를 통해 코드 저장시 변경되는 내용을 에뮬레이터에서 바로 확인할 수 있다. cmd+shift+p > Launch emulator를 눌러 실행할 에뮬레이터를 선택한 다음, Run > start debugging(F5)를 선택하면 결과물을 확인 가능하다. 이후 변경사항이 생길시 저장만 하면 에뮬레이터에 해당 내용이 즉각 반영된다. 이 기능은 애플리케이션 전체를 다시 시작하지 않고 실행 중인 Dart 가상 .. 2024. 1. 7.
Generics, Collections Generics과 Collections 1. Collections: 데이터를 모아 보여주는 자료 구조 • 대표적으로 List(array), Set, Map 등이 있다 2. Generics: collection이 가지고 있는 데이터의 타입을 지정. 코드의 안정성 및 재사용성을 위해 사용된다. Collections Lists 스퀘어 브라켓([ ]) 안에 리스트 항목을 콤마로 구분하여 넣어준다. var list = [1, 2, 3]; //목록을 만들때는 대괄호 안에 1. 유형 var number = new List(); // new List는 list 클래스의 생성자를 통해서 새로운 인스턴스를 생성하고, 이를 number라는 변수에 할당한 것. // 변수 number가 List 객체에 참조를 저장하고 있다고도.. 2024. 1. 6.
우울할 땐 뇌 과학 - 무기력을 극복하고 일상의 선순환을 만드는 법 나는 텐션이 높은 편은 아니고 기본적으로 일상에서 느끼는 행복감의 빈도나 수위도 그리 높은 편은 아니라는 생각이 든다. 심한 우울감을 겪거나 이런 감정적 문제가 일상에 크게 장애가 되는 것은 아니었지만, 기분이 잘 가라앉고 결정적인 순간에 의욕이 떨어진다는데 문제의식이 있었다. 또한 뇌과학에 대해 막연한 관심도 있어서, 우울할 땐 뇌 과학이라는 책을 가볍게 읽어보았다. 뇌과학에 대해 많이 알고 있지는 못하지만, 이 책은 전반적인 뇌과학에 대한 책이라기 보다는 우울감을 이겨내고 긍정적인 습관을 만들어 이로 삶을 이끌어내는 뇌의 몇몇 기전에 대해 주로 다룬다. 매우 특별하거나 어려운 내용은 별로 없어서 편하게 읽을 수 있고, 핵심적인 교훈이 머리에 잘 남아서 나쁘지 않은 책이었다. 읽으면서 느꼈던 것은 앤드.. 2024. 1. 1.
채권의 이해, 채권 투자 심화편 자주 보는 월가아재 금융 상품 도구함 채권 영상을 보고 채권에 대해 추가 정리해 보았다. 채권 수익률의 결정 원리 및 경기에 따른 채권 투자 적기에 대해 더 자세히 알 수 있다. 채권 투자 수익 채권은 리스크와 수익률 측면에서 예금과 주식의 중간에 위치하는 자산이다. 회사가 부도/파산하는 경우 원금 손실이 가능하나 그래도 주식보다 상환 순위가 높다. 경기 침체 시기에 투자하기 좋은 자산(금리 하락 시)이다 ▶ 주식과 반대로 움직임 채권 유형 유형(신용등급)별로 투자하기 좋은 시기가 다르다. 신용등급별 회사채 구분 1. 우량채권(신용등급 +BBB 이상) 작지만 안정적인 수익을 얻을 수 있으며, 주식 시장이 안 좋을때 좋은 퍼포먼스를 보임 2. 하이일드(신용등급 BB 이하, 투자 부적격) 신용등급이 낮을수록.. 2023. 12. 31.
1. 민법총칙 - 5. 법률행위의 무효와 취소, 6. 조건과 기한 5. 법률행위의 무효와 취소 1) 법률행위의 무효 1. 무효의 의의: 법률행위의 성립요건은 갖추었으나 효력요건을 결하여 그 효력이 없는 것 01 무효의 효과 1. 성립시부터 의도한 대로의 효력이 발생하지 않음 2. 이미 이행한 것에 대해 부당이득반환 문제 발생 02 무효의 종류 1. 확정적 무효: 법률행위의 효력이 확정적으로 발생하지 않는 경우 1) 무효는 확정적 무효가 원칙 2) 의사무능력자의 법률행위, 원시적 불능의 법률행위, 사회질서 위반의 법률행위 등 2. 유동적 무효: 추후 추인 등으로 유효하게 되는 법적상태 1) 토지거래허가를 받지 않은 토지 매매, 정지조건부 법률행위, 무권대리행위 등 03 일부무효 제137조(법률행위의 일부무효) 법률행위의 일부분이 무효인 때에는 그 전부를 무효로 한다. 그.. 2023. 12. 30.
플러터 기본 학습 - extends vs mixin 플러터 책 3주차 막바지의 상태 관리와 provider 내용이 나오면서, 내용이 급격하게 어려워진 느낌이 든다. provider 다음으로 changenotifier 클래스에 대한 내용이 나왔는데 mixin 관련 내용에 대한 이해가 필요해서, 짚고 넘어가지 못한 extends에 대해 mixin과 비교하여 학습했다. extends extends는 한 클래스가 다른 클래스를 상속받는 것을 나타낸다. 상속을 통해 기존 클래스를 변형한 클래스를 생성할 수 있다. 상속을 받은 child class는 parent class(super class)의 모든 속성을 물려받으며, child class에 새로운 속성도 추가할 수 있다. class Model { String name; void runWay() { print(".. 2023. 12. 28.
차트를 통해 추세 파악하기 - 진짜 상승과 가짜 상승 요새 투자 유튜브를 자주 봐서 알고리즘에 투자 동영상이 많이 뜨는데, 오늘 아침 김작가TV에서 성현우 의사의 동영상이 떴다. 2년전쯤 라이브된 영상인데, 그때 아마 인상적으로 영상을 보고 이분의 책도 샀던 것 같다. 영상을 본 이후 짧지 않은 시간 동안 차트를 읽는 법이나 기술적 지표에 대한 책도 조금 보고, 투자 경험이 좀더 쌓이다보니 오늘 다시 보았을때 좀더 핵심이 이해가 잘되었다. https://www.youtube.com/watch?v=XRQAUCKQqAM 영상이 길지만 처음부터 끝까지 허투루 들을 수 없는 귀중한 내용들이 가득하다. -3억으로 시작해서 55억을 만들기까지 겪었던 마음의 고통과 시련 등을 담담하게 풀어내시는데 빠져들게 된다. 앞부분은 세력이 차트에서 어떻게 시세를 만들어가는지를 파.. 2023. 12. 27.
1. 민법총칙 - 4. 법률행위의 대리 1. 대리제도 1) 대리의 종류 1. 임의대리와 법정대리 임의대리: 본인의 수권행위에 의하여 대리권을 갖게 되는 것 법정대리: 법률의 규정에 의하여 일정한 범위의 대리권이 부여되는 것 2. 능동대리와 수동대리 능동대리: 본인을 위하여 상대방에게 의사표시를 하는 대리 수동대리: 본인을 위하여 상대방의 의사표시를 수령하는 대리 3. 유권대리와 무권대리 유권대리: 대리인이 정당한 대리권을 가지고 있는 경우 무권대리: 정당한 대리권을 가지지 않는 경우. 유동적 무표 2. 유권대리 1) 대리권과 본인의 관계 1. 대리권의 발생원인 1) 법정대리권: 법률의 규정으로 정해짐 2) 임의대리권: 수권행위로 발생 본인의 일방적 의사표시에 의하여 대리인에게 대리권을 수여하는 행위 수권행위는 불요식 행위 01 대리권의 범위 .. 2023. 12. 26.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