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분류 전체보기92

1. 민법총칙 - 3. 의사표시 1. 법률행위의 해석 1) 법률행위 해석의 대상 법률행위의 해석은 당사자의 내심적 의사여하에 관계없이 당사자가 그 표시행위에 부여한 객관적 의미를 합리적으로 해석하여야 한다. 2) 법률행위 해석의 방법 1. 자연적 해석: 표의자의 실제적 의사, 내심적 효과의사를 추구하는 것 1) 오표시무해의 원칙: 표의자 및 상대방이 의사표시를 잘못하였다 하여도 진정한 의미를 인식할 수 있을 경우 법률행위는 실제로 이해한 의미대로 성립 2. 규범적 해석: 내심적 효과의사와 표시행위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대방의 시각에서 표시행위의 객관적 의미를 탐구하여 법률행위의 성립을 인정하는 해석 상대방의 신뢰보호를 위한 해석방법이므로 상대방 있는 의사표시에 적용됨 3. 보충적 해석: 법률행위의 내용에 공백이 있는 경우 해석에 의.. 2023. 12. 25.
1. 민법총칙 - 1. 민법의 기초 ~ 2. 법률행위의 목적 1. 민법의 기초 1) 권리의 변동 1. 권리의 발생 1) 원시취득: 타인의 권리에 기함이 없이 특정인이 어떤 권리를 새로이 취득하는 것 2) 승계취득: 타인의 권리에 기초하여 특정인이 권리를 승계적으로 취득하는 것 이전적 승계: 동일한 권리의 이전(e.g. 양도) 특정승계: 매매·교환·증여·사인증여·경락에 의한 권리취득처럼 개개의 취득원인에 의해 개개의 권리가 취득 포괄승계: 상속·포괄유증·회사합병 등 하나의 취득원인에 의해 다수의 권리가 일괄적으로 취득되는 경우 2) 법률행위 일반 01 법률행위의 종류 1. 의사표시의 수와 방향에 따른 분류 1) 단독행위 ① 상대방 있는 단독행위: 상대방에게 의사표시가 도달해야 효력이 생기는 단독행위 채무면제·상계·대리권수여·동의·철회·취소·추인·해제·해지·시효이익의.. 2023. 12. 23.
플러터 학습기 (4) - final과 const, chat gpt로 코딩해보기 초보자도 프로처럼 만드는 플러터 앱 개발(링크) 3주 차를 완료했다. 3주 차 마지막에 상태 관리 부분과 Provider 관련한 내용이 나왔는데 어찌어찌 따라 할 수 있었던 앞부분과 달리 이해하기가 어렵다ㅠ 그래서 병행해서 보고 있는 코딩셰프 강좌를 다시 켰다. 순한맛을 보고 조금 따라 하다가 진도가 느린 것 같아서 책으로 다시 넘어왔는데, 상태관리 부분까지는 강의 몇십 개의 갭이 있다. 뭔가 기초를 잘 다지고 가지 않아서 나중에 고생할 것 같은 느낌이 든다. 어쨌든 예제를 좀 따라하면서 레이아웃에 대한 이해를 조금 더 넓혔고, 오늘 상태 관리에 대한 영상 이전 내용을 훑어보다가 기본적인 내용 중 아직 모르는 부분이 많다는 것을 깨닫고 나중에 알아보기로 했던 const에 대한 내용을 공부했다. 관련 강좌.. 2023. 12. 21.
34회 공인중개사 기출-1차 부동산학개론 36~40번 36. 다음 자료를 활용하여 원가법으로 산정한 대상건물 의 시산가액은?(단, 주어진 조건에 한함) ○ 대상건물 현황: 철근콘크리트조, 단독주택, 연면적 250㎡ ○ 기준시점: 2023.10.28. ○ 사용승인일: 2015.10.28. ○ 사용승인일의 신축공사비: 1,200,000원/㎡(신축 공사비는 적정함) ○ 건축비지수(건설공사비지수) - 2015.10.28.: 100 - 2023.10.28.: 150 ○ 경제적 내용연수: 50년 ○ 감가수정방법: 정액법 ○ 내용연수 만료 시 잔존가치 없음 ① 246,000,000원 ② 252,000,000원 ③ 258,000,000원 ④ 369,000,000원 ⑤ 378,000,000원 정답: ⑤ 지수법으로 계산한 재조달원가 = 1,200,000 x 150/100 =.. 2023. 12. 18.
with that being said - 그렇지만, 그건 그렇고 with that being said는 회화체에서 자주 쓰이는 관용적 표현이다. 두가지 용법이 있다. 1. 앞에 나온 말과 반대되거나 다른 내용을 말할때 Italy is a very popular honeymoon destination. With that being said, I’d still rather go to Vietnam. 이탈리아는 신혼여행지로 인기가 많아. 그렇지만 나라면 베트남으로 가겠어. despite what has just been said 두가지 내용을 연달아 이야기할때, 두번째로 나오는 내용이 처음에 말한 내용에서 기대되는 바와 달라질때 사용한다. However, Nevertheless, Even so 등으로 대체할 수 있다. 앞에 나온 내용이 과거의 일이면, That having.. 2023. 12. 18.
34회 공인중개사 기출-1차 부동산학개론 31~35번 31. 부동산투자의 분석기법 및 위험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단, 주어진 조건에 한함) ㄱ. 경기침체로 부동산 수익성 악화가 야기하는 위험은 사업위험(business risk)에 해당한다. ㄴ. 공실률, 부채서비스액은 유효총소득을 산정하는데 필요한 항목이다. ㄷ. 위험회피형 투자자의 최적 포트폴리오는 투자자의 무차별곡선과 효율적 프론티어의 접점에서 선택된다. ㄹ. 포트폴리오를 통해 제거 가능한 체계적인 위험은 부동산의 개별성에 기인한다. ㅁ. 민감도분석을 통해 투입요소의 변화가 그 투자안의 내부수익률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할 수 있다. ① ㄱ, ㄴ, ㄷ ② ㄱ, ㄷ, ㅁ ③ ㄱ, ㄹ, ㅁ ④ ㄴ, ㄷ, ㄹ, ㅁ ⑤ ㄱ, ㄴ, ㄷ, ㄹ, ㅁ 정답: ② ㄴ. 유효총소득 = 가능총소득 - .. 2023. 12. 17.
8. 부동산감정평가론 - 3. 부동산 가격공시제도 1차 부동산학개론 부동산학 총론 부동산경제론 부동산시장론 부동산정책론 부동산투자론 부동산금융론 부동산개발 및 관리론 ▶ 부동산감정평가론 1. 감정평가의 기초이론 2. 감정평가의 3방식 3. 부동산 가격공시제도 3. 부동산 가격공시제도 1) 공시지가제도 01 표준지공시지가 1. 표준지공시지가의 의의 1) ≪부동산 가격공시에 관한 법률≫의 규정에 의한 절차에 따라 국토교통부장관이 조사·평가하여 공시한 표준지의 단위면적당 가격 2) 공시기준일은 1월 1일 1) 표준지 선정조건 ① 지가의 대표성 ② 토지특성의 중용성 ③ 토지구별의 확정성 ④ 토지이용의 안정성 2. 표준지공시지가의 조사·선정 및 공시 제3조 (표준지공시지가의 조사·평가 및 공시 등) ① 국토교통부장관은 토지이용상황이나 주변 환경, 그 밖의 자연적.. 2023. 12. 16.
채권 투자 시점 - 미국 장기채는 언제 사야할까? 최근에 새로 발견한 월가아재 유튜브를 자주 보고 있다. 아직 경제 관련 기초 지식이 많지 않아서 짧게 몇 분간 들어도 소화하기가 버겁지만, 꾸준히 보면서 학습도 병행하다 보면 투자에 대한 마인드셋을 확립하는 것이나 투자 공부를 하는데 도움이 될 것 같다. 채권에 대해 조금 공부한 차에 마침 미국 장기채 투자를 하기에 적절한 시점인지에 대한 영상을 보게 되어서 정리해본다. 기본적인 내용을 알았어도 채권 투자를 언제 해야하는지, 장단기채 등 어떤 종류의 채권을 사야할지에 대해서는 금리 움직임 및 매크로에 대한 이해가 좀더 필요한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는데, 여기에 대해 좀더 이해의 폭을 넓혀준 영상이었다. 두 달 전 쯤에 올라온 영상이고, 채권 얘기는 앞쪽 7~8분 정도로 길게 나오진 않았지만 내용은 결코 .. 2023. 12. 13.
8. 부동산감정평가론 - 2. 감정평가의 3방식 1차 부동산학개론 부동산학 총론 부동산경제론 부동산시장론 부동산정책론 부동산투자론 부동산금융론 부동산개발 및 관리론 ▶ 부동산감정평가론 1. 감정평가의 기초이론 2. 감정평가의 3방식 3. 부동산 가격공시제도 1. 감정평가의 3방식 1) 감정평가의 3방식 7방법 3방식 조건 7방법 시산가액(임대료) 산식 원가방식(비용성) 가액 원가법 적산가액 재조달원가 - 감가누계액 임대료 적산법 적산임료 기초가액 x 기대이율 + 필요제경비 비교방식(시장성) 가액 거래사례비교법 비준가액 거래사례 x 사정보정 x 시점수정 x 가치형성요인비교 임대료 임대사례비교법 비준임료 임대사례 x 사정보정 x 시점수정 x 가치형성요인비교 가액 공시지가기준법 토지가액 비교표준지공시지가 x 시점수정 x 지역·개별요인비교 x 그밖의 요인보정.. 2023. 12. 12.
8. 부동산감정평가론 - 1. 감정평가의 기초이론 1차 부동산학개론 부동산학 총론 부동산경제론 부동산시장론 부동산정책론 부동산투자론 부동산금융론 부동산개발 및 관리론 ▶ 부동산감정평가론 1. 감정평가의 기초이론 2. 감정평가의 3방식 3. 부동산 가격공시제도 1. 감정평가의 기초이론 1) 감정평가의 의의 1. 감정평가: 토지 등의 경제적 가치를 판정하여 그 결과를 가액으로 표시하는 것 2. 감정평가의 기능 1) 정책적 기능 ① 부동산의 효율적 이용관리 ② 적정한 가격형성 유도 ③ 합리적인 손실보상 ④ 과세의 합리화 2) 경제적 기능 ① 의사결정의 판단기준 제시(합리적 투자판단 기준) ② 자원의 효율적 배분 ③ 거래질서의 확립과 유지 2) 감정평가의 분류 01 시장가치기준의 원칙 제5조(시장가치기준 원칙) ① 대상물건에 대한 감정평가액은 시장가치를 기준으.. 2023. 12. 11.
728x90